
편식이 심해 키가 크지 않는 것 같습니다.(서울 초...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정은아입니다. 아드님이 편식도 심하고 키도 다른 친구들에 비교해 작다 보니 고민이 많으시겠군요. 9세(만 8세)의 평균 키는 129cm 내외 정도로 아드님은 평균 키에 비해 작은 키에 속하는 것이 맞습니다. 키가 크지 않은 이유에는 편식이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그 밖에 부족한 ...
부모의 키가 아이의 키성장에 영향을 받나요? (강...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정은아입니다. 아드님이 키가 어느 정도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평균 키에 미치지 않는다고 하시는 것을 보니 또래의 아이들보다는 키가 다소 작다고 판단하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아드님의 키가 평균 키에 비교해 작은 이유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먼저 질병...
예민해진 9살 딸아이, 벌써 사춘기인가요? (강남 ...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정은아입니다. 말도 잘 하지 않고 예전처럼 환하게 웃어주지도 않는 딸의 행동에 다가가는 것이 조심스럽고 한편으로는 걱정도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따님과 같이, 아직 9살이지만 빠르게 사춘기가 찾아와 말수도 적어지고 짜증을 잘 내는 여아 성조숙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
9살인 딸이 벌써 가슴에 몽우리가 잡힙니다. (강남...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정은아입니다. 따님의 월령을 정확히 알지는 못하지만, 초등학교 2학년의 키와 몸무게 평균으로 보았을 때 따님은 현재 또래보다 약간 키가 작아 보입니다. 그런데 지금 가슴에 몽우리가 잡힌다면 이차 성장도 빨리 시작되어 키를 키울 시간도 줄어서 최종 예상키도 작아 질 것으...
뚱뚱한 아이 식단 관리 고민이 있습니다. (강남 초...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정은아입니다. 하루에 정해진 8시간만 식사하고 나머지 12~16시간은 공복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인 간혈적 단식의 경우 해가 떠 있는 동안 위장기능이 활발할 때 섭취한 음식을 제대로 소화 흡수해 영양소를 만들 수 있게 해 주고, 해가 지면 오장육부도 온전히 휴식할 수 있도록 ...
초등학생 생리가 빠르면 성장에 큰 지장이 있을까...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정은아입니다. 어릴 때 초경을 빨리 하셔서 따님의 성조숙증 유전을 걱정하시는군요. 어머님의 초경이 초등학생 때였거나 또는 아버님의 변성기가 그 당시 친구들보다 빨랐다거나 하는 등의 경향이 있었다면 자녀도 이차성징이 빨리 나타날 수 있으며 성조숙증 진단을 받을 가능성...
성조숙증 증상인지 판단 할 수 있는 기준이 있을까...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정은아입니다. 또래보다 1~2년 정도 성장발달이 유독 빠르면 성조숙증을 의심해보고 초등학교 2학년이면 증상이 없더라도 정상 속도의 성장발달을 하고 있는지 확인을 위해 성조숙증 검사를 해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대부분은 평균 체형이면 괜찮겠지 생각하시는데 꼭 소아비만이 ...
초등학생 1학년 딸 아이에게 가슴멍울이 생겼어요....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정은아입니다. 아이의 정확한 월령은 알 수 없지만 평균적으로 가슴멍울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시기가 만 10세 전후인 것과 비교하자면 딸의 이차 성징은 2년 이상 일찍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직 어린 딸이 이른 시기에 가슴에 변화가 나타나 많이 놀라셨겠습니다. 보...
남자아이는 성장판이 언제 닫히나요? (강남 초등학...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정은아입니다. 성장판에 대해 궁금한 점을 문의 주셨네요. 성장판이 닫히는 시기는 개개인의 차이가 있으며 평균적으로 남자는 17~18세 전후가 되면 성장판이 거의 닫힙니다. 남자의 경우 성장은 대개 24세 전후로 완성되는데 성장판이 닫힌 후에도 골반, 척추 교정 등을 통해 자...
요즘 들어 너무 많이 먹어서 소아비만이 걱정돼요....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정은아입니다. 아이가 약간 과체중이고 단시간에 만들어진 거라면 무조건 식단을 조절하기 보다는 운동량, 활동량을 늘려보시는 것이 먼저입니다. 하지만 아이가 정상 표준체중을 20%이상 벗어나있다면 소아비만 치료가 필요합니다. 소아비만은 성조숙증, 키성장장애, 당뇨, 고지혈...